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단 버팀보 동시해체에 대한 검토

by 핑퐁풍팡퐁 2022. 8. 15.

현장 시공성을 고려하여 1,2단 동시해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음

 

1,2단 버팀보 동시해체에 대한 검토

1,2단 동시해체를 하게 되면 기존 설계보다 흙막이 벽체의 비지지 길이가 길어지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해체 순서를 변경하여 적합한 해석을 통해 흙막이 가시설 부재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 다.  모든 단면에 대해서 구조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검토 결과 흙막이 가시설 부재의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해당 내용은 별도 첨부하였다. 버팀보의 1,2단 동시해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검토 결과 흙막이 부재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1,2단 동시해체를 진행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흙막이 벽체의 비지지길이가 길어짐에 따른 변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계 측결과에 유의하여야 한다.

 

볼트홀 산소 천공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

강재 연결시 볼트 구멍을 산소로 천공하는 방안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함. 현장 상황 상 현장에 전기 설비와 천공기 설치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기계 천공방식을 사용하는 방 식에 문제가 발생함. 시공성의 확보를 위해 산소천공 하고자 하며, 산소천공 시 해당 부재의 구조적 안정성의 변화에 대해 검토함. 볼트홀을 산소천공 할 경우 강구조학회 논문 ‘[볼트홀을 산소토치로 천공한 강재의 인장강도 및 지압 이음강도]의 2.4. 볼트홀 천공 시험편의 실험결과 분석‘에 실험 결과대로 인장 강도는 1% 감소하나, 항복강도는 5.3%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됨. 해당 수치는 구조적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산소 천공 하여도 구조적으로 안정함. C형강과 Post Pile, 합성버팀보와 띠장 등 볼트 연결을 실시하는 강재에 산소천공을 하여도 구조적으 로 안정함. 다만 산소천공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볼트홀이 크게 천공될 수 있어서 과천공이 발생할 경우 와셔 등을 사용하여 볼트와 강재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여야 함

 

구조물 레이커 설치에 대한 검토

당 현장 구조물 타설 중 벽체가 캔틸레버가 되는 구간에 구조물 레이커를 설치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  구조물 층고가 높아 버팀보 해체시에 슬라브가 없는 구간은 구조물 벽체가 캔틸레버 상태가 되므로 안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해당 구간을 보강하기 위해 레이커 형태로 보강빔을 설치하여야 하며 레이커 설치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구조물 레이커는 H-300빔을 적용하였으며 수평간격은 2.5m로 아래와 같은 형태로 설계하였으며 자세한 구조검토 내용은 별도 첨부하였다 구조물 벽체의 캔틸레버 구간 보강을 위한 레이커 설치 검토를 수행하였다. 구조물 레이커는 H-300빔으로 2.5m 간격으로 설치하였을 때 안정성이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위의 결과대로 구조물레이커를 설치하여 구조물 타설시 벽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댓글